정보/심리학
정보/심리학
2018. 1. 9.
[심리학] 지워지지 않는 마음의 상처 <트라우마> (Trauma)
지워 버리고 싶은 기억 마음의 상처 '트라우마(Trauma)' 트라우마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과거에 있던 정신적 외상이나 육체적 외상으로 인해 일상생활하는데에 문제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본래는 육체적, 정신적인 용어로 같이 쓰이는 단어이지만 왠지 모르게 한,일 두 국가에서는 정신적인 충격만 트라우마라고 알고있습니다. 육체적으로 충격이 생겨 상처가 생기는 것도 트라우마라고 하지만 여기서는 정신적인 트라우마만 다루겠습니다. 자신을 방어하려는 본능 트라우마는 자신의 안좋았던 기억이 반복해서 기억이 나는 것입니다. 비슷한 사건이나 사물 또는 그 시절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지속적인 심적고통을 주는 것이죠. 안좋은 트라우마가 계속 지속되게 되면 그 기억에 관계된 인물이나 사물을 증오하게 되며 관계된 이야기..
정보/심리학
2018. 1. 4.
[심리학] 편견의 무서움 <토마토 효과> (Tomato Effect)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고정관념과 편견, 오해의 무서움(Tomato Effect)> 토마토는 어디서왔을까?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토마토는 남미의 고산지대에서 재배되던 줄기 식물입니다. 콜롬버스의 신대륙 발견이후 이 식물도 유럽으로 전파되게 됩니다. 그런데 유럽귀족들은 토마토를 금시기하고 독성식물로 분류하고 먹지 않았으며, 단지 빨갛고 매끄러운 외관을 보기위해 관상용으로만 길러 왔다고 합니다. 왜 그랬을까요? 왜 토마토를 금기시 했을까?[맨드레이크] 만드라고라라고도 불리는 독성식물 '맨드레이크'와 열매가 많이 닮았다고 합니다. 맨드레이크는 뿌리가 사람모양을 하고 있는데다가 복용..
정보/심리학
2017. 12. 26.
[심리학] 논리의 오류 <흑백 논리> (黑白論理), (Splitting)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흑백논리(黑白論理)란? 모든 문제를 흑-백, 선-악, 득-실 등의 양 극단으로만 구분하며 두 극단 이외에 중립적인 것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편협한 사고방식이나 논리를 뜻한다. 흑백 사고의 오류나 이분법이라고도 불리며, 인간에게 지식이 생기면서 가장많이 발생하는 논리적 오류중에 하나다. 흑백논리에 대해 "그거 검은색이니?"라고 했을때 "아니"라고 대답하면 "그럼 하얀색이네"라고 생각한다. 파란색이나 노란색일 수도 있는데 말이다. 이것은 반대와 모순의 관계를 혼동하는 것이다. 흑백논리를 내세우는 사람들은 극에 치우친 경우가 많고, 자신이 타인에게 잘못된 점을 지적받으면, 그들은 자신의 의견과 반대되는 의견이나 사상을..